[기업기상도] 기회 잡아 맑은 기업 vs 사고 처해 흐린 기업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벌써 9월입니다.<br /><br />폭염은 갔지만 가라앉은 경기 상황에 기업들 사정이 썩 편치 않은데요.<br /><br />어려운 상황에서 반전 계기를 잡은 기업들, 또 뜻하지 않은 사태로 곤란에 처한 기업들 소식, 기업기상도로 되짚어보시죠.<br /><br />김종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 주 기업뉴스 리뷰 주간 기업기상도입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역대 최저 증가율로 내년 예산 편성했습니다.<br /><br />금융가에선 가계부채 걱정한 당국의 주택대출 억제책 나왔는데요.<br /><br />곳곳에서 허리띠 바짝 조여맨 소식 쏟아진 한 주, 맑고 흐린 기업 찾아 기업기상도 출발합니다.<br /><br />첫 맑은 기업 롯데, 신세계, 현대 백화점 3사입니다.<br /><br />불황에 실적 별로지만 추석 대목장사는 좀 될 것 같다는 기대감 나옵니다.<br /><br />공직자 대상 농수산물 선물은 15만원, 명절엔 30만원까지 허용하는 청탁금지법 시행령 개정안 의결됐죠.<br /><br />이달 하순 추석 생각하면 대목 열린 셈인데요.<br /><br />2분기 나란히 영업이익 20~30%이상 급감한 백화점들, 3분기 반전 노리며 일제히 고가 선물 물량 확보 나섰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고물가, 고금리에 믿었던 명품 매출까지 둔화하는 처지라 이번 조치도 숨돌리는 정도밖엔 안될 것 같긴 합니다.<br /><br />중국 손님 돌아오면 좀 나아질까요?<br /><br />다음은 쿠쿠전자 보실까요?<br /><br />아직 중국 단체 관광객 쏟아지진 않았지만 좋은 소식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의 한국 단체 관광 허용에도 화장품 시장 회복 기대감은 크지 않은데요.<br /><br />하지만 이미 볕든 곳도 있죠.<br /><br />전자밥솥입니다.<br /><br />7월 이 회사 면세점 매출이 593% 급증했단 뉴스 있었는데요.<br /><br />물량은 400% 늘었으니 비싼 제품 더 팔린 건데, 주가도 1년내 최고점 찍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경제 위기감 커지지만 그곳도 구매력 있는 집단은 있습니다.<br /><br />적절한 마케팅으로 상황 반전 가져올 상품도 더 있다고 봐야합니다.<br /><br />이제 흐린 기업입니다.<br /><br />미래에셋, NH투자, 유안타증권입니다.<br /><br />4년 전 라임펀드 사태 후폭풍 직면했습니다.<br /><br />이른바 특혜환매 논란 불똥이 튀었습니다.<br /><br />민주당 김상희 의원, 농협중앙회에 라임 펀드 팔고 환매해준 미래에셋, NH투자증권에 금융감독원이 검사 나섰죠.<br /><br />당사자들은 증권사 권유나 자체 환매 기준 따랐다 반박하고 증권가에선 수사, 조사로 펀드돈 빠지던 때 판매사가 환매 권유한 게 잘못인지 갸우뚱하는 사람 많지만 금감원 생각은 다른 듯하죠.<br /><br />검찰도 미래에셋, 또 유안타증권 강제수사 나섰습니다.<br /><br />금감원은 다른 펀드돈 내지 라임 회사돈으로 이뤄진 비정상 환매라고 강조하는데, 당사자가 알 수 있었는지가 쟁점될 것 같네요.<br /><br />다음에도 금융기업 BNK경남은행입니다.<br /><br />거액 횡령 사건이 갈수록 태산입니다.<br /><br />은행 자체 감사에서 78억원이던 횡령액이 금융감독원 검사에서 562억원으로 늘더니, 검찰 수사에서 문제의 경남은행 부장이 고교 동창 증권사 직원과 짜고 횡령한 것만 617억원으로 커졌습니다.<br /><br />검찰에선 횡령액이 최대 1,100억원 이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시중은행보다 작은 지방은행에서 이런 거액 빠져나가도 장기간 모르고, 정확한 횡령액조차 파악 안되니 시스템 문제가 심각한 듯합니다.<br /><br />이번엔 롯데카드 보시죠.<br /><br />금융권 곳곳에서 거액 횡령 속출하더니 여긴 거액 배임 사건 터졌습니다.<br /><br />마케팅 팀장이 협력사와 카드 발급 촉진행사 벌였는데, 실적 확인 수단도 없는데 발급 회원당 1만6,000원 주는 부실 계약 맺었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협력업체에 간 돈이 2년7개월간 105억원, 팀장과 직원이 66억, 협력사가 39억 챙겼다네요.<br /><br />금융감독원이 이 직원들 검찰에 고발했습니다.<br /><br />거액 마케팅비 빠져나가는데, 입찰부서 아닌 마케팅팀이 직접 제휴사 선정하고 계약도 부실했다니 여기도 내부통제에 구멍 뚫린 게 확실합니다.<br /><br />마지막은 현대자동차, 기아입니다.<br /><br />불황 아랑곳없이 실적 신기록 내더니 노조가 파업 채비 나섰습니다.<br /><br />현대차는 투표자 92% 찬성으로 파업 가결됐고 기아도 교섭 결렬 선언했죠.<br /><br />다만 일정은 미정인데요.<br /><br />기본급 18만4,900원 인상, 순익 30% 성과급, 상여금 900%에 정년 64세 연장 등이 노조 요구입니다.<br /><br />회사는 수용 불가라고 밝혔는데, 특히 정년연장은 사회적 합의 없이 할 수는 없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실제 파업 이뤄지면 실적에 암운 드리우는 셈인데, 노조는 특히 정년 연장 원하겠지만 이게 개별 회사 차원에서 가능한지는 의문입니다.<br /><br />주택 공급 상황이 심상찮습니다.<br /><br />불황 전망과 고금리, 자재값 폭등, LH 사태 겹쳐 인허가 30% 줄고, 착공은 반토막 났죠.<br /><br />불황속 집값 급등 재연 걱정 안할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주간 기업기상도였습니다.<br /><br />PD 김선호<br />AD 이영은<br />송고 김종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